오늘은 통풍 증상과 원인, 그리고 피해야 할 음식 및 권장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산은 육류, 가금류, 해산물 등에 있는 퓨린이라는 유기화합물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보통은 혈액에 용해되어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지만 퓨린대사이상으로 요산이 너무 많이 생성되거나 배출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요산 결정이 축적되고 관절과 주변 조직에 침착하여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데 이를 통풍이라고 합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이지만 폐경기 이후에는 여성의 요산수치도 높아지기 때문에 남녀 불문 조심해야 하며 유전적 요인과 음주, 비만 등 안 좋은 생활 습관으로 발병하기도 합니다.
잠깐!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은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통풍 증상(시기별)
- 무증상 → 급성 발작 → 간헐기 → 만성
무증상 고요산혈증
무증상 고요산혈증은 말 그대로 증상 없이 혈액 내 요산 농도가 높음을 뜻합니다.
요산의 평균 농도는 남성 6mg/dl, 여성 5mg/dl입니다.
특별한 통풍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고지혈증, 고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급성 통풍 발작
혈액 내 요산 수치 농도가 높은 기간이 장시간 지속되면 급성 통풍 발작이 발생하는데 주로 밤에 발생하며 한 개의 관절에서 심한 열감과 함께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를 받으면 3~4일 내로 통풍 증상이 호전되며 자연적으로도 일주일 정도 지나면 가라앉기도 하지만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으면 만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니 치료를 제대로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간헐기 통풍
급성통풍발작이 지나고 통풍 증상이 없는 기간을 간헐기 통풍이라고 합니다.
통풍은 한번 발병하면 1~2년 내에 재발하는 비율이 굉장히 높으며 통풍 발병 이후에도 관리를 안 하면 계속해서 발병하게 되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만성 결절성 통풍
급성 통풍 이후 평균 10년 전후로 관절 주위에 혹 모양의 작은 결절이 생기게 되면 만성 통풍이라 합니다.
만성 통풍이 되면 통증이 상당하며 궤양으로 발전하는 등 이차 질병과 관절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발병 부위는 엄지발가락이지만 발목, 무릎, 손목, 팔꿈치 등 다양한 관절에서 발병할 수 있습니다.
관절이 빨갛게 부어오르며 열감과 통증이 있다면 통풍을 의심하셔야 합니다.
발열과 오한을 동반하며 빨갛게 부어오른 부위는 옷자락이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심하며 통증이 가라앉았다 하더라도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풍 원인
연령의 증가
연령이 증가하면 신장에서의 요산 배출 능력이 감소하여 요산의 농도가 높아져 통풍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남성은 30~50대에 가장 많이 발병하며 여성은 여성호르몬이 줄어드는 폐경기 이후 50~70대에 많이 발병합니다.
과체중, 비만
과체중, 비만인 경우 중성지방이 많아 요산 배출이 어렵습니다.
또한 비만을 부르는 많은 식사량과 과도한 음주는 퓨린이 들어있는 식사를 할 가능성을 높이므로 요산의 생성을 높일 수 있어 통풍 원인이 됩니다.
수분 부족
통풍 원인이 되는 요산 수치는 탈수 증상이 생기면 상승하게 됩니다.
평소 땀이 많이 나거나 수분 섭취가 적은 경우 고요산혈증을 일으켜 통풍에 걸리기 쉽습니다.
유전적 요인
유전적 요인이 통풍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풍은 약 10~15% 정도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가족력이 있는 경우 통풍 증상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주의 사항
통풍의 증상 악화를 막을 수 있는 주의 사항으로는 식이요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피해야 할 음식
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해산물 : 멸치, 정어리, 꽁치, 고등어, 조개류 등
- 육류 : 간, 콩팥, 육포 등
- 단 음식 및 당분 많은 음료 : 탄산음료, 과일주스, 과당이 많은 식품
권장하는 음식
적당한 단백질을 섭취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단백질 : 두부, 달걀, 저지방 우유, 콩 등
- 과일 : 체리
※ 과한 단백질 섭취는 주의가 필요하며, 비타민 C가 많이 함유된 과일은 요산 수치 감소에 도움을 줍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통풍 증상과 원인, 그리고 피해야 할 음식 및 권장하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하루에 2~3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주면 요산 배출에 도움이 되니 물을 자주 마셔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체중이 많이 나가시는 분들은 체중 조절도 필요한데 다이어트는 급격하지 않게 서서히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한 근력 운동은 오히려 통풍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니 가벼운 유산소 운동으로 관리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