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악성코드 Misc.HackTool.KMSActivator 해결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내 컴퓨터의 보안을 위해 다양한 보안 프로그램들을 이용하고 있는데요.
그중 인기 있는 보안 프로그램을 꼽는다면 안랩의 V3 Lite나 이스트시큐리티의 알약을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안 프로그램은 다양한 바이러스의 위협으로부터 내 컴퓨터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속도가 점차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우리는 보안 프로그램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곤 합니다.
그중 알약에서는 KMSActivator라고 불리는 특정 바이러스가 종종 감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거를 하더라도 다시 생겨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어떻게 해야 Misc.HackTool.KMSActivator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본문에서 상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약 프로그램을 다운 받고 싶은 분들은 하단을 통해 빠른 접속이 가능합니다.
악성코드 검사 Misc.HackTool.KMSActivator
알약 백신 프로그램의 실시간 감시 기능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보안 조치라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 시 실시간 감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을 때 종종 악성 코드 검사 목록에 ‘Misc.HackTool.KMSActivator’라는 악성 코드 탐지 알림이 뜰 때가 있습니다.
악성코드 탐지 알림을 보게 되면 즉시 악성 코드를 치료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왜 악성 코드가 감지되었는지 원인을 확인하려는 사람들도 많은데요.
Misc.HackTool 시리즈는 다양한 버전이 있으며, 그중 KMSActivator는 주로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만큼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했을 경우 악성 코드 탐지 알림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즉, 윈도우 정품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서 자주 탐지되는 코드로 볼 수 있습니다.
Misc.HackTool.KMSActivator 문제 해결하기

먼저,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하는 사용자의 경우 악성코드 검사를 통해 상세정보에서 Misc.HackTool.KMSActivator 프로그램이 발견될 경우 치료를 하면 안 됩니다.
이는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치료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알약이나 V3와 같은 보안 프로그램에서는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악성 코드로 인지 하지만 실질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진 않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해서 지속적으로 팝업 알림이 뜬다면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알림을 없애고 싶은 분들은 하단의 방법을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악성코드 검사 제외 설정하기
윈도우 정품 인증을 우회하여 사용하시는 분들이 실수로 치료하기를 눌러 삭제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려면 검색 제외 설정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1. 탐지된 악성 코드를 마우스 우클릭한 후 제외하기를 클릭합니다.

2. 제외 설정 추가 창에서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추가해 줍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알약 악성코드 검사에서 탐지되는 Misc.HackTool.KMSActivator이 어떤 프로그램인지와 어떻게 탐지에서 제외시킬 수 있는지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윈도우 보안상 악성 코드 제외 설정은 비록 좋은 방법이 아니지만 정품 인증 툴을 설치한 사용자가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Misc.HackTool.KMSActivator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를 하거나 검색 제외 설정을 하고 아예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단, 이는 보안상 큰 취약점이 될 수도 있으니 보안이 걱정되는 분들은 윈도우 정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